벽암록 - 한 쪽 눈만 갖추었다 (제033칙)

사이트 내 전체검색




벽암록

한 쪽 눈만 갖추었다 (제033칙)

 

 

한 쪽 눈만 갖추었다

-[제033칙]구일척안 -

<수시>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동서를 분별하지 않고 남북을 구분하지 않아, 아침부터 저녁나절까지 저녁부터 아침나절까지 무심하니, 이러면 그가 졸고 있다고 할 수 있겠느냐? 그러나 어느 때는 눈빛이 유성처럼 빛나기도 하니, 이러면 그가 깨어 있다고 말할 수 있겠느냐? 어느 때는 남쪽을 북쪽이라고 하기도 한다. 말해 보아라, 이는 마음이 있는 것이냐, 없는 것이냐? 도인이냐, 범인이냐? 여기에서 뛰어 넘어야만 비로소 귀착점을 알아,

옛사람은 이러하기도 저러하기도 했음을 알 것이다. 말해 보아라, 이는 어떤 상황이냐?

<본칙>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상서 진조가 자복스님을 떠보러 갔는데, 자복스님은 그가 오는 것을 보고 일원상을 그렸다.

진조는 말하였다.

“제자가 이렇게 와서 아직 앉지도 않았는데 일원상을 그리시어 어쩌자는 것입니까?”

자복스님이 곧 방장실의 문을 닫아버렸다.

(설두스님은 착어하였다. “진조는 겨우 한쪽 눈만 갖추었다.”)

<송>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둥그런 진주 구르고 옥구슬은 돌돌돌

말에 싣고 나귀에 얹어 철선을 타고는

온 세상 일없는 나그네에게 나누어주네

큰 자라를 낚을 때에는 올가미를 던져라

(설두스님은 다시 말하였다.“천하의 납승이 벗어나지 못하리라.”)

-[第033則]具一隻眼 -

<垂示>

垂示云. 東西不辨南北不分. 從朝至暮從暮至朝. 還道伊瞌睡麽. 有時眼似流星. 還道伊惺惺麽有時呼南作北. 且道是有心是無心. 是道人是常人. 若向箇裏透得. 始知落處. 方知古人恁麽不恁麽. 且道是什麽時節. 試擧看.

<本則>

擧. 陳操尙書看資福. 福見來便畫一圓相. 操云. 弟子恁麽來. 早是不著便. 何況更畫一圓相. 福便掩卻方丈門. 雪竇云. 陳操只具一隻眼.

<頌>

團團珠遶玉珊珊. 馬載驢駝上鐵船. 分付海山無事客. 釣鼇時下一圈攣. 雪竇復云. 天下衲僧跳不出.

 

 

 

 


[목록]

접속자집계

오늘
1
어제
1
최대
14
전체
338,473
그누보드5
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모바일 버전 Copyright © 고전읽기/사주. All rights reserved.
상단으로